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맨위로
서울소식
한강버스와 기후동행카드의 결합… 6만7천원에 한강버스 무제한 탄다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2025년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등
2025-10-01
  • 기사공유
  • 엑스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링크 복사
본문글자크기

한강버스와 기후동행카드의 결합…
6만7천원에 한강버스 무제한 탄다

서울시가 오는 9월 18일 첫 운행을 앞둔 ‘한강버스’를 기후동행카드에 포함시키며 교통 정책에 새로운 변화를 예고했다. 이번에 새로 선보이는 한강버스 권종은 30일 기준 기존 금액에 5천 원만 추가하면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어, 대중교통과 더불어 시민들의 일상 속 이동 선택지를 한층 넓혀줄 전망이다. 특히 한강을 따라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새로운 교통수단이 기존 대중교통 체계와 유기적으로 맞물리면서, 출퇴근은 물론 주말 여가와 관광 활성화까지 아우를 수 있는 효과가 기대된다.

한강버스 도입과 함께 기후동행카드의 맞춤형 할인 혜택도 확대된다. 특히 청소년 할인제는 성인과 동일한 금액을 내야 했던 청소년들의 교통비 부담을 대폭 줄여준다. 더불어 다자녀 가정과 저소득층에도 혜택이 넓어져 30일권 기준 교통카드 단독형뿐 아니라 따릉이와 한강버스를 결합한 다양한 조합형 상품도 마련돼, 시민들은 본인의 생활 패턴에 맞춰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대중교통+따릉이+한강버스’ 30일권은 일반가 7만원에서 2자녀 부모(자녀 1명은 만 18세 미만) 및 청소년의 경우 7천원이 할인된 6만 3천원까지 할인돼 이동수단을 다채롭게 활용할 수 있다.

교통비 안내

서울시는 서울시민들에게 단순한 교통비 절감 효과 뿐만 아니라 서울 생활의 질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친환경 교통 확산과 더불어 이동 편의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한강버스라는 새로운 교통수단이 도시의 연결성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이번 변화는 ‘기후동행카드’가 단순한 교통비 절감 수단을 넘어 서울 생활의 질을 높이는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의 서울특별시 120다산콜센터 ☎02-120




1인가구 전월세 안심계약
도움서비스 이용

내 집 찾기가 어려운 사회초년생, 중장년, 어르신 등 1인가구에게 안정적인 주거지 정착을 위하여 전‧월세 계약상담 및 집보기 현장 동행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주요대상: 서울시 거주 또는 거주예정 1인가구(독립가구예정자 포함)
운영기관: 25개 자치구
운영일시: 매주 월, 목 13:30~17:30 / 야간 및 토요일(사전예약)
신청방법: 서울 1인가구포털(1in.seoul.go.kr) 신청 또는 자치구별 유선문의
상담방식: 사전신청 후 예약에 따른 전화 또는 대면상담

문의 1인가구 포털(1in.seoul.go.kr)내 자치구별 전화번호




「2025년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신청 안내

“생계걱정에 아파도 치료 안받고, 건강검진도 미루는 노동약자”를 위해 서울시가 입원, 국가 일반건강검진 기간 동안 「생활비」를 지원합니다!

지원항목: 입원(입원연계 외래진료), 국민건강보험공단 일반건강검진
지원일수: 연 최대 14일[입원 13일(입원연계 외래진료 3일 포함), 국가 일반건강검진 1일]
지원금액: 1일 94,230원(연 최대 1,319,220원)
※ 25년도 생활임금 기준
신청조건: 국민건강보험 지역가입자로 입원·검진 전월 기준 90일간 근로자는 24일 이상 근로, 사업자는 45일 이상 사업장 유지(임대업, 법인 제외)
소득·재산기준: 신청인과 가구원 합계 소득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재산 3억 5천만원 이하
신청기간: 퇴원일(입원·입원연계 외래진료) 및 공단 일반건강검진일로부터 180일 이내
신청방법: 거주지 관할 보건소·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http://sickleave.seoul.go.kr)(아래 QR코드 접속)

서울형 입원 생활비 지원 QR

문의 다산콜센터(02-120), 또는 거주지 관할 보건소




독감 on! 접종 on!
서울시 인플루엔자·코로나19
국가예방접종 시작

접종기간 : 2025.9.30.~2026.4.30.
접종대상
• 무료: 생후6개월~13세 어린이, 임신부, 65세 이상 어르신
• 유료: 무료접종 대상을 제외한 누구나
접종일정 : 대상별 순차 실시
접종장소 : 서울시 지정 의료기관 4,800개소 및 보건소(방문 전 확인) (65세 이상 어르신10.15일부터 코로나19 접종과 동시접종 권장)

지정의료기관 검색 QR
지정의료기관 검색 QR

예방접종 안내

문의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 또는 질병관리청 1339




서울시의 규제혁신, 계속 이어갑니다

2025년 10월호
2025년 10월호
2025년 10월호
  • 등록일 : 2025-10-01
  • 기사수 :
  • 중구 SNS 채널
  • 블로그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톡채널
  • 당근마켓
2025년 10월호QR코드를 스캔하여 스마트폰에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