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맨위로
마을이야기
[우리동네 역사산책] 인현동은 이순신 장군 탄생지다
2025-03-31
  • 기사공유
  • 엑스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링크 복사
본문글자크기

서울 외곽엔 북한산, 도봉산, 불암산, 관악산, 청계산이 있고 또 230여 개의 크고 작은 고개가 있었다. 구전과 문헌으로 전해 오는 이들 고개 외에도 옛날부터 이름 없이 존재하던 고개는 더 많았다.

고개들은 이현(배오개, 진고개), 동현(구리개, 명동성당 근처), 치현(풀무재, 충무로↔을지로) 등으로 불리다가 세월이 흘러 도로가 되고 아스팔트가 깔리며 사라졌다. 무악재, 남태령, 망우리, 미아리 고개가 겨우 남아 있고 일부는 인현동처럼 동명으로 겨우 남아 있다. 인현동은 선조의 일곱째 아들 인성군(1588~1628) 집이 있어 인성현이라 했고 이를 줄여 인현이라 한 게 동명의 유래가 됐다. 하지만 인현동은 무엇보다도 이순신 장군 탄생지임을 말하지 않을 수 없다. 장군은 덕수 이씨 아버지 이정과 어머니 초계 변씨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이를 알려주는 안내판이 두 군데 있다. 1985년 사람들의 눈에 잘 띄는 중구 초동 18-5 명보아트홀 앞에 ‘충무공 이순신 생가 터’ 표석을 세웠고, 2017년 이곳에서 골목으로 249m 들어가면 생가 위치와 가까운 인현동 31-2번지 신도빌딩 입구 벽면에 ‘충무공 이순신 생가 터’라는 동판을 설치하였다. 추정이긴 하나 학계의 엄정한 고증을 거쳤다. 충무공 이순신 장군은 인현동에서 태어나 10세 안팎의 유소년 시절을 보내고 충남 아산으로 이사 갔다.

인현동 1가 31-2번지 신도빌딩 자리가 이순신 탄생지
▲ 인현동 1가 31-2번지 신도빌딩 자리가 이순신 탄생지

이순신 장군은 자기보다 3살 더 많은 서애 유성룡과 형님 아우하며 동네친구로 사이좋게 지냈는데 유성룡 집터가 충무로역 1번 출구 쪽인 것을 보면 이순신의 생가 터는 인현동 1가 31-2번지쯤이 맞는 것 같다. 어떤 이는 장군의 탄생지가 건천동이라 하는 이도 있으나 건천동은 인현동 40번지 부근 마른내골의 한자어로 인현동 31-2번지가 더 정확한 표기이다. 서울시는 이곳에 이순신 장군 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이 하루빨리 추진되어 이순신과 서울 중구의 인연이 세상에 널리 알려졌으면 좋겠다.

김성섭(수필가)

2025년 4월호
2025년 4월호
2025년 4월호
  • 등록일 : 2025-04-01
  • 기사수 :
  • 중구 SNS 채널
  • 블로그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톡채널
  • 당근마켓
2025년 4월호QR코드를 스캔하여 스마트폰에서 바로 보실 수 있습니다.